반응형 일본어 공부/일본어 문법21 [일본어 표현] 옆(横 / そば / 隣) 일본어로 "옆" 에 해당하는 단어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. 1. 横(よこ) 横는 거리와 상관 없이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할때 사용합니다. はさみはペンの横にあります。 가위는 펜 옆에 있습니다. -> 가위는 펜의 수평방향(왼쪽 혹은 오른쪽)에 위치함 2.そば そば는 방향에 상관없이 거리가 가까운 것을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 대각선도 가능하며, 곁 또는 주변이라는 뜻에 가깝습니다. はさみはペンのそばにあります。 가위는 펜 옆에 있습니다. -> 가위는 펜의 주변에 위치함 一生あなたのそばにいます。 평생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. 3.隣(となり) 隣는 같은 종류의 것을 나열하였을때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. 隣家 옆집 隣国 이웃나라 韓国は日本の隣の国です。 한국은 일본의 이웃나라 입니.. 2024. 1. 24. 일본어 동사 | 동사 + ながら / に行く(来る) 동사ます형+ながら 일본어 동사 ます형 뒤에 ながら가 붙으면 ~ 하면서 라는 뜻이 됩니다. お菓子を食べながら歩きます。 과자를 먹으면서 걷습니다. スマホを見ながらご飯を食べます。 스마트폰을 보면서 밥을 먹습니다. 동사 ます형 + に行く / 来る 동사ます형 뒤에 に行く(来る)가 붙으면 '~하러 가다(오다)'라는 뜻입니다. 会いに行きます。 만나러 갑니다. 食べに行きます。 먹으러 갑니다. 飲みに行きます。 마시러 갑니다. 遊びに来ます。 놀러 옵니다. 宿題をしに来ます。 숙제를 하러 옵니다. 2023. 11. 10. 일본어 동사 | 수수동사 <주다 / 받다> 수수동사 수수(授受)동사란 주고 받는 행위를 할 때 사용하는 동사입니다. 뜻 : 주다 / 받다 주다 あげる / くれる / やる 한국어에는 행위의 주체와 상관 없이 모두 주다라고 하지만, 일본어에서는 내가 남에게 줄 때, 남이 나에게 줄 때, 남이 남에게 줄 때, 동/식물에게 줄 때 표현하는 단어가 모두 다릅니다. あげる 1. 나 -> 타인 2. 타인 -> 타인 私は妹にお菓子をあげた。 나는 여동생에게 과자를 주었다. 妹は友達にお菓子をあげた。 여동생은 친구에게 과자를 주었다. くれる 1. 타인 -> 나 妹が私にお菓子をくれた。 여동생이 나에게 과자를 주었다. やる 사람 -> 동/식물 母は花に水をやる。 엄마는 꽃에 물을 준다. 받다 もらう 私は太郎にプレゼントをもらった。 나는 타로에게 선물을 받았다. 妹は友達にお.. 2023. 10. 20. 일본어 동사 |사역수동형 사역수동형 사역형과 수동형을 합친 것이 바로 사역수동형입니다. 사역 : 어떠한 동작 또는 행위를 시키는 형태 수동 : 주어가 어떠한 동작의 대상이 되어 행위를 당함 누군가에게 시킴을 당함이라는 뜻으로, 자신의 의지가 아닌 어쩔 수 없이 한다는 의미입니다. 한국어에는 없는 형태라 직역을 하면 매우 어색하기 때문에 의역이 필요합니다. 일본어 동사 | 수동태1 수동태 수동태란 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행위를 당하는 형식입니다. 한국어의 피동형을 생각하면 조금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. 해석은 '~을 당하다', '~하게 되다'로 해석하면 편합니 plumlee.tistory.com [일본어 동사] 사역형 일본어 동사의 사역형입니다. 사역형이란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동작 또는 행위를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... 2023. 10. 6. 일본어 동사 | 사역형 일본어 동사의 사역형입니다. 사역형이란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동작 또는 행위를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. 따라서 해석을 할 때도 '~을 하게 하다/ ~을 하게끔 시키다'라고 합니다.1그룹 동사う단을 あ단으로 바꾸고 せる를 붙입니다.(う는わせる) 行く-->行かせる 가다 --> 가게 하다 言う-->言わせる 말하다 --> 말하게 하다 読む-->読ませる 읽다 --> 읽게 하다 母は息子に本を読ませる。엄마는 아들에게 책을 읽게 했다. 2그룹 동사る를 させる로 바꿔줍니다. 食べる --> 食べさせる 먹다 --> 먹게 하다 着る --> 着させる 입다 --> 입게 하다 姉が私に変な服を着させた。언니가 나에게 이상한 옷을 입게 했다. 3그룹 동사する-->させる 하다 --> 시키다 来る-->来(こ)させる 오다 --> 오게 하다 私.. 2023. 9. 13. 일본어 동사 | 수동태 2 <수동태의 종류> 일본어 수동태의 특징 일본어는 수동태로 말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. 수동태가 중요한 이유는 수동표현을 통해서 말하는 사람의 감정을 알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. 수동태의 특징을 두 가지로 나누자면, 1. 몇몇 동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동사가 수동형이 가능하고 2. 직접 수동과 간접 수동이 있습니다. 수동태 만드는 법은 이전 글을 참고 부탁 드려요😉↓↓↓ 일본어 동사 | 수동태1 수동태 수동태란 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행위를 당하는 형식입니다. 한국어의 피동형을 생각하면 조금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. 해석은 '~을 당하다', '~하게 되다'로 해석하면 편합니 plumlee.tistory.com 수동형이 불가능한 동사 수동형으로 만들 수 없는 동사입니다. 1. 능력을 나타내는 동사 & 동사의 .. 2023. 8. 23. 이전 1 2 3 4 다음